[2025-07-07] 7월 주간 국내·해외 증시 주요일정

2025. 7. 6. 16:30주식/미국 증시 시황

728x90
반응형

금요일 미국 증시 마감

주간 S&P500 수익률

주간/월간 주요 지수 및 채권, 원자재 상품 수익률

미국

  • 한주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2.30%, S&P500지수는 +1.72%, 나스닥지수는 +1.62% 상승
  • 미국 주요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중
  • 비트코인: 위험자산인 비트코인 가격은 10만 달러에서 초반대 유지
  • 매크로: 7월은 지난 10년 연속 S&P500지수가 상승했던 달, 다만 7월 9일로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기한이 단기 리스크
  • 매크로: 
  • 지정학적 리스크: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수정안을 공식 거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오는 7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을 예정
  • 관세: 트럼프는 관세에 관한 서한에 서명했고, 그 서한은 월요일(7일)에 발송할 예정이며, 아마도 12통이 될 것이라고 언급
  • 관세: 베센트 장관은 CNN에서 8월1일 까지 무역협정이 타결되지 않은 국가에 4월 2일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언급
  • https://www.axios.com/2025/07/06/trump-tariffs-letters-trade-war
  • 실적: 주요 기업의 실적 발표로는 10일 델타항공, 식품 대기업인 콘아그라 브랜즈
  • 개별주: 서클, USDC $240 돌파, GENIUS Act 스테이블코인법 통과, 7월내 법률 확정  

중국

  • 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원자력발전소 설비와 부품의 대중국 수출 허가를 중단했다고 보도 
  • 항공우주 분야에서는 GE 에어로스페이스의 중국상용항공기공사(COMAC) 항공기용 제트 엔진 수출 허가를 중단
  • 반도체 설계에 사용되는 전자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판매 기업들도 대중국 수출에 제한
  • 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이 미국에 대한 희토류 수출을 재개하기로 합의
  • 8일: 관세 전쟁으로 중단했던 미국 보잉 항공기 도입을 두 달 만에 재개
  •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전날 새벽 신형 보잉 737맥스 항공기 1대가 미국 시애틀 보잉 본사에서 중국으로 출발
  • 중국은 미국과 오는 9일 영국 런던에서 고위급 회담을 열기로

일본

  • 관세: 19일 이시바총리는 미국관세와 관련해 정해진 기한에 얽매여 국익회손 하지 않겠다 언급
  • 일본은 미국에게 모든 신규관세 철폐와 환율개입 불가를 요구, 대미투자와 농산물 수입확대 등을 제안할 것
  • 미·일협상(23일) 아카자와 경제재생상 미국에 일련의 관세 조치 재검토를 다시 강하게 요청했다고 언급
  • 25일, 트럼프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사실상 승인 하지만 이는 planned partnership으로 완전자회사화는 불확실
  • 30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 협상과 관련해서 ‘인수’가 아닌 ‘투자’라고 강조
  • 6월 13일 US스틸 인수를 허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
  • 6월 27일 워싱턴DC에서 러트닉 상무장관과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만나 7차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함
  • 6월 30일 트루스소셜에 나는 일본을 매우 존중한다 하지만 그들은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우리의 쌀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글을 작성
  • 7월 1일 전용기에서 트럼프는 일본에 대해 우리는 일본을 상대해 왔는데, 합의할지 확신을 못 하겠다 그들은 매우 완고하고 매우 잘못 길들여졌다고 언급
  •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7월 3일과 5일 밤 각각 45분, 60분가량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화

국내

  • 코스피지수는 전주대비포인트(%) 오른에 마감
  • 코스닥지수도 전주대비 포인트(%) 내린에 마감
  • 4월 저점부터 단기에 급반등했고,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 차익 실현 욕구 여전
  • 코스피 한달새 +18% 코스닥 +9% 급등
  • 26일 기준 국내 증시에서 단기과열종목으로 지정된 종목은 총 30개
  • 매크로: 7월 9일 관세 
  • 개별주: 상법개정,  2분기 실적 시즌 준비해야 할듯
  • 실적 : 이번주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 예정

 

골드만삭스는 한국 증시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 확대’로 상향하고, KOSPI 목표치를 3,100 포인트로 제시

1. 정치 리스크 완화 

2. 친성장 정책 기조 

3. 기업 지배구조 개선 기대  

4.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기대

5. 밸류에이션 측면에서 PER 9.1배, PBR 1.0배로 절대적·상대적으로 저평가

6. 외국인 보유비중 240bp 언더웨이트 – 외국인 유입 여지 

7. 환율 – 달러/원 강세로 외국인 환차익 기대 

8. 반도체 업황 – 하반기 후반~내년 상반기 저점 통과 예상 

9. 지주회사, 저PBR, 배당세 감면 수혜 등



국내 관심 섹터

[호텔 카지노]

- 관련기업 : 파라다이스, 롯데관광개발, 강원랜드

[케이팝데몬헌터]

더보기

넷플릭스 영화 부문 글로벌 시청 1위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

애플뮤직 인기앨범 1위

 

yg plus

- 테디를 비롯한 더블랙레이블 작가진 케이팝 데몬헌터스 OST 제작 참여

- 음원,음반 유통전문 케이팝 확대 수혜 
           
JYP Ent 

- 트와이스 케이팝 데몬헌터스 OST 참여

- 엔딩 크레딧에 녹음 영상 등장

와이지엔터테인먼트 

- 더블랙레이블 지분 14.55% 보유(지분가치2000억?)

썸에이지(동전주,적자주) 
- 더블랙레이블 지분 보유. 


 

[스테이블코인]

더보기

프로젝트 한강

- 관련주: LG씨앤에스, 아톤

 

결제

- 관련주: 다날, 카카오페이

 

원화스테이블 상표권 등록
- 카카오페이(PKRW, KKRW, KRWP, KPKRW, KRWKP, KRWK)
- 넥써쓰(KRWx), BNB체인에서 발행
- 미래에셋증권(KRWX, KRWM)

- 네이버페이(KRW, KRWZ, KRWNP, NWON, KRNP)
- 폴라리스오피스(POLAKRW)

- 국민은행(KBKRW)

 

[로봇]

더보기

독일 뮌헨 오토매티카 (AUTOMATICA 2025, 24~27일)

관련기업: 두산로보틱스(산업용로봇), 한화로보틱스 (산업용로봇), HD현대로보틱스 (산업용로봇), 하이젠알앤엠 (액츄에이터), 뷰웍스(센서), 로보티즈 (액츄에이터), 에스피지 (감속기), 알에스오토메이션 (제어기/센서)

[방산]

더보기

나토(NATO) 정상회의(24~25일, 네덜란드)
핵심은 방위비 증액으로 시장 확대될 가능성

관련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LIG넥스윈, 현대로템, 엠앤씨솔루션, SNT다이내믹스 등

 

폴란드향 K-2 전차 수출 2차 계약이 이르면 이달 말 체결될 것
- 판매 규모는 단일 무기체계 수출 계약으로는 사상 최대인 9조원 규모

관련주: 현대로템, 엠앤씨솔루션, SNT다이내믹스 등

[AI]

더보기

5월 30일 까지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접수

- 정부와 기업이 공동출자해(자본금 총 4000억원)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AI 인프라를 구성

5.01, AI분야 추경예산 확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계획 대규모 GPU확보 구축 사업자공모

1조6194억원, 국내 AI컴퓨팅 수요를 뒷받침하기위해 선제적으로 GPU 구매 후 국가 프로젝트 및 국내 AI생태계 지원(5월부터 사업자 공모)

AI혁신펀드 운용사 선정

- GPU 관련주: 제이씨현시스템, MDS테크, 씨이랩

- LLM 관련주: 솔트룩스, 마음AI, 크라우드웍스

- NPU 관련주: 포바이포, 오픈엣지테크놀로지, 칩스앤미디어, 퀄리타스반도체, 링크제네시스, 어보브반도체, 제주반도체

- AI신약개발 관련주: 파로스아이바이오, 신테카바이오

[바이오]

더보기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2025)

- 관련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팜, 에스티팜, 에이비엘바이오, 올릭스, 이엔셀, 프레스티지바이오, 쓰리빌리언, 뉴로핏 등 80여개의 기업

 

에이비엘바이오

-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 및 4-1BB 기반 이중항체 면역항암제 관련 협력에 대해 논의

 

올릭스

- 일 라이 릴리, 로레알 그룹 파트너십 계약에 이은 추가적인 협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

- 미국 임상 1상 단계의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OLX301A)’

- 간 질환 플랫폼 기술(GalNAc-asiRNA)과 지방조직 및 중추신경계(CNS) 질환을 타깃하는 플랫폼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현황

 

동아쏘시오그룹(동아에스티, 에스티팜, 에스티젠바이오)

동아에스티

- 항암제, 면역·염증성 질환, 신경질환, 내분비질환 등 임상 단계의 14개 파이프라인과 초기·전임상 단계의 24개 파이프라인을 소개

- 엑소좀 기반 약물 전달체, mRNA-LNP 기반 기술, AAV매개 유전자치료제 등 신규 모달리티(약물 전달 방식) 분야의 연구 성과 소개

 

자회사 앱티스

- ADC(항체-약물 접합체) 링커 플랫폼 '앱클릭'의 기술적 차별성과 확장성 소개

- 클라우딘18.2를 타깃으로 한 위암·췌장암 치료제 'AT-211(DA-3501)' 현황을 소개

 

에스티팜

-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캐스' 기반 유전자 편집 기술의 핵심 구성 요소인 sgRNA(단일 가이드 리보핵산)의 고품질 합성 기술과 정밀 분석 역량, 효소 기반 하이브리드 접근법 소개

- 새로운 매커니즘으로 HIV를 치료하는 최초의 알로스테릭 HIV-1 인테그라제 효소 저해제(ALLINI) 후보물질 'STP0404'를 소개

- 대장암을 비롯한 진행성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 중인 'STP1002'를 소개

 

에스티젠바이오

- 배양 시설 가동률 향상과 다품종 생산 유연성 확보를 위한 '하베스트 라인' 확충,

- 신규 무균 충전 설비 도입을 통해 연간 2800만 PFS 생산능력 확보를 계획

- 해외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35kL 규모의 제2공장 건설 가능성 검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 바이오 USA에 4년 연속 대규모 단독부스로 참가

- 개발 중인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 기술이전 미팅 + 고형암을 타깃으로 한 PBP1710의 소개를 중점적으로 진행 할 계획

-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관련 미팅도 예정

 

이엔셀

- First-in-Class 항체신약과 고수익 바이오시밀러,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R&D부터 임상, 생산, 상업화까지 통합 수행 가능한 풀밸류체인을 보유하

- 국 내외 기업들과 수주 계약을 맺고 있는 첨단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분야의 현재 수주 현황과 성장 가능성 등을 소개

- 지난 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샤르코마리투스병 환자 대상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된 신약 후보물질 'EN001'을 홍보

- 글로벌 CDMO 수주와 기술이전 기회를 모색할 예정

- 회사의 강점인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와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CDMO 수주를 위해 여러 글로벌 기업들과 미팅을 진행

 

쓰리빌리언

- AI 기반 희귀질환 신약 개발 플랫폼과 신약 후보물질 2종을 글로벌 제약사들에게 소개할 계획

- 전장유전체(WGS)·전장엑솜(WES) 기반 희귀 유전질환 진단 서비스 사업으로 축적한 7만 5000건 이상의 환자 유전체 정보와 30만 건 이상의 임상 증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고도화해

 

미국당뇨병학회(ADA, 20-23일, 미국 시카고)

- 관련기업: 한마약품, 일동제약 유노비아, 디앤디파마텍, 인벤티지랩, 프로젠

 

 

제4회 월드 ADC 아시아 서밋(4th World ADC Asia Summit, 10~12일, 인천)

- 관련기업: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 오름테라퓨틱 등 7곳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 ABL206 발굴 및 비임상 개발 을 주제로
- ADC 전문기업인 시나픽스(Synaffix), 인투셀(IntoCell)과 링커-페이로드(Linker-Payload) 기술 도입 계약을 체결

- ABL206 및 ABL209의 미국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을 올해 말 진행할 예정

- 최근 ABL206과 ABL209의 임상 개발을 전담할 독립 법인 네옥 바이오의 설립을 마무리

롯데바이오로직스

- 이번 행사에서 아시아권 잠재 고객사와 새로운 비즈니스 파트너십 구축을 모색할 계획

-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자체 개발한 혁신적인 ADC 플랫폼 솔루플렉스 링크를 공개

- 4월에는 아시아 소재 바이오 기업과 ADC 임상시험용 후보 물질 생산 계약을 체결

 

삼진제약

- 국내 제약사 중에서 유일하게 발표 무대에 서

- 이수민 삼진제약 연구센터장이 발표를 맡아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기술을 소개할 예정

- STING 작용제를 페이로드로 한 SJA20 시리즈

- 대사항암제를 활용한 SJA70 시리즈 등 차세대 ADC 개발 비전과 기술 전략을 공유

[LNG]

더보기

5/16 미국 알래스카 주정부가 6월 3일 열리는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 회의에 한국 정부를 초청

4/18: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 재방한(4월 18일, 한·미 에너지 협력을 논의)

- 관세 협상 등 다른 모든 사안이 자연스럽게 연계된다며 가스 구매를 강조

- 한국 기업에 별도의 보조금 등 인센티브는 제공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

- LNG 공급 시점은 2030년 전후

- 사업은 알래스카산 LNG 구매와 함께 '파이프라인(가스관) 건설' +'수출용 LNG 터미널 건설'로 구성, LNG 터미널 건설은 전체 사업비(440억달러)의 절반에서 3분의 2가량

- 브랜든 듀발 글렌파른 CEO는  가스 액화용 압축기 모듈, 철강, 파이프 등을 공급하길 원한다면 협력할 것

3/24: 미국 알래스카 주지사 방한(3월24일~26일, LNG 개발 사업 공식 요청)

 

관련기업

 

- LNG 가스 관련기업

유통/발전사: 포스코인터네셔널, 한국가스공사

수입터미널: SK가스, SK이노베이션, HDC, GS에너지(GS글로벌), 삼성물산, 현대건설

파이프라인(철강, 강관): POSCO홀딩스, 세아제강, 세아제강지주, 넥스틸, 휴스틸, 하이스틸, 대동스틸, 동양철관 등

액화플랜트(피팅): 성광벤드, 태광

액화플랜트(보냉): 동성화인텍, 한국카본

- 신규 관련주: 한국가스공사, 원일티엔아이, SK오션플랜트, 율촌

 

원일티엔아이

- LNG 분야의 경우 LNG를 천연가스(NG)로 변환하는 '고압연소식기화기(SCV)'에 독보적인 경쟁 우위 확보

- 증발가스를 LNG와 혼합해 재액화하는 'BOG 재액화기(BOG Recondenser)'도 국내 독점 공급 중

- 이와 함께 탄소 배출 저감을 고려한 '탄소포집기(CCUS)'를 결합해 블루수소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도 보유

- 윤철환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독점 제품 제조하고 있다며 주력 제품인 고압연소식 기화기(SCV)는 LNG터미널에서 액화천연가스를 NG로 기화하는 장치라고 소개, 이어 글로벌 LNG 수요 확대를 기반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 중국, 인도, 쿠웨이트 등 다양한 국가로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며 평택, 안산 등의 수소 생산기지와 수소 충전소에 수소 개질기를 공급했다고 강조

 

 

 

주간 중요 경제지표 발표 및 실적 발표 일정( 한국시간 )

7월 첫째 주

7월 주요일정

6월 20-23일 미국당뇨병학회(ADA) 개최

6월 22일 머스크 CEO가 언급한 로봇택시 운행일

6월 24-26일 NATO 정상회담(네덜란드)

6월 27일 넷플릭스 오징어게임3

(6월) 미국 부채한도 상한 조정  (X-date 6월~8월)
(6월) 일본 국채 매입 재검토

7월 4일 독립기념일로 미국 휴장

(7월) 현대로템 K2전차 폴란드 2차계약(9조)

=====================================================
7월 6-7일 BRICS 정상회담(브라질) 

7월 8일 삼성전자 2분기 잠정실적발표

7월 8-11일 아마존프라임데이

7월 9일 미국 상호관세 유예 종료 예정일, 삼성전자 Z폴드, 필립7 언팩(밤11시)
7월 10일 한국 금융통위원회 - 7월 동결, 8월 인하 전망

7월 11일 한국 여야 추가 상법 개정 논의, 블랙핑크 뛰어(JUMP) 발매, 트와이스 정규 4집

7월 15일 미국 2분기 실저 시즌 시작 
7월 16일 ASML 실적 발표, 민주노총 총파업

7월 17일 TSMC 실적 발표

7월 18일 미국 옵션만기일
7월 20일 일본 참의원 선거 

7월 21일 한국 13조 소비쿠폰 신청 시작일
7월 23일 알파벳테슬라메타 실적 발표(예정) 
7월 24일 유로존 ECB 통화정책회의 
7월 29-30일 미국 FOMC 회의 
7월 30-31일 일본 BOJ 금융정책회의
(7월) 정부 주관으로 5개의 AI 국가대표 기업이 선정될 예정, GPU구축사업자선정, 일론 머스크 xAI Grok-4 출시

(7월 중순) 스테이블코인 법안 하원 통과

(7월 말)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세법개정에 포함될 가능성

 

 

7월 06일 일요일

 

BRICS 정상회담(브라질) 

 

7월 07일 월요일

 

한국

싸이닉솔루션 코스닥 상장(공모가 : 4,700원)

- 반도체 설계 도면을 최적화하는 디자인하우스

- 전력관리칩과 디스플레이 구동 반도체 등 여러 영역에서 실적을 쌓아

- SK하이닉스시스템IC의 국내 유일 디자인하우스 파트너

- 438개의 국내외 기관이 참석해 1289대 1의 경쟁률

LG전자 잠정실적 발표

구글 클라우드데이 서울(7-8일, 코엑스)

일본

08:50 - 6월 외환보유고

- (12월) 1,230.7B  (1월) 1,240.6B  → (2월) 1,253.3B → (3월) 1,272.5B  → (4월) 1,298.2B→ (5월) 1,298.1B

- 2011년 이후 최고 최저: (최고, 21년 9월) 1,424.3B, (최저, 22년 11월) 1,194.6B

14:00 - 5월 선행지수

중국

00:38 - 6월 외환보유고(달러)

-(1월) 3.209T (2월) 3.227T→  (3월) 3.241T→  (4월) 3.282T→  (5월) 3.285T

홍콩

06:00 - 5월 외환보유액(달러)

- (12월) 421.40B  (1월) 421.50B  → (2월) 416.40B → (3월) 413.10B  → (4월) 408.70B → (5월) 431.00B

유럽

15:00 - 영국 6월 Halifax 주택가격지수

15:00- 독일 5월 산업생산

16:00 - 스위스 6월 외환보유고(달러)

- (11월)724.6B  (12월)731.0B  (1월) 736.4B  (2월)735.4B  (3월) 725.6B   (4월) 702.9B (5월) 703.6B

17:00 -독일 Buba 총재 요아힘 나겔 연설

17:30 - 유로존 7월 sentix 투자신뢰지수

18:00 - 유로존 5월 소매판매

- 전월대비(MoM): (1월) -0.3% → (2월) +0.3% → (3월) -0.1% → (4월) +0.1% 

- 전년대비(YoY): (1월) +1.5% → (2월) 2.3% → (3월) 1.5% → (4월) 2.3%  

19:00 -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관세협상 내용)

미국-이스라엘 정상회담

23:00 - 6월 컨퍼런스보드(CB) 고용동향지수

00:30 - 국채 3·6개월물 입찰(3개월물 $820억, 6개월물 $730억) 

- 이전: 3개월물 4.250%, 6개월물 4.150%

05:30 - Fed 지급준비금 잔액( H.4.1)

 

 

 

7월 08일 화요일

 미국 상호관세 유예 종료 예정일

 

한국

삼성전자 잠정실적 발표

구글 클라우드데이 서울(7-8일, 코엑스)

09:00 - 6월 수출입동향

09:30 - 6월 S&P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제조업: (11월) 50.6 → (12월) 49.0 → (1월) 50.3 → (2월) 49.9 → (3월) 49.1 → (4월) 47.5  → (5월) 47.7

일본

08:50 - 5월 조정경상수지

12:35 - 5년 JGB국채 입찰

호주

12:30 - 7월 RBA 통화정책회의

- 이전 : 3.85%

- 예상 : 3.60%으로 25bp 인하 전망

중국

 

유럽

15:00- 독일 5월 수출입동향

18:30 - 독일 5년물 Bobl 국채 입찰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8~11일)

EU 50% 관세 부과

19:00 - 6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00:00 - 6월 뉴욕 연은 소비자기대설문(SCE) 

- 5월 : 1년 기대인플레이션 3.2%

- 5월 : 3년 기대인플레이션 3.0%

- 5월 : 5년 기대인플레이션 2.6%

00:30 - 국채 1년물 입찰($500억) 

01:00 - 미 에너지청(EIA) 단기에너지전망(STEO)

02:00 - 국채 3년물 입찰($580억)

04:00 - Fed 소비자 신용(G.19, Consumer Credit)

05:30 - 미국석유협회(API) 주간 원유재고

 

※실적발표

미국

장전 : 
마감후 : 펭귄솔루션(PENG), 사라토가인베스트먼트(SAR), AEHR테스트시스템스(AEHR)

 

 

 

7월 09일 수요일

 

한국

삼성전자 Z폴드, 필립7 언팩 행사

 

일본

18:50 - 일본 6월 M2 · M3통화공급

중국

10:30 - 6월 소비자물가지수

10:30 - 5월 생산자물가지수

 

유럽

18:30 - 영국 10년물 Gilt 국채 입찰

20:00 - 유럽중앙은행(ECB) 부총재 루이스 데 귄도스 연설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8~11일)

20:00 - 30년물 MBA 모기지

23:00 - 5월 도매재고

23:30 - EIA 주간 원유재고

- 전년대비 : (3/26) -3.341M  (4/02) 6.165M  (4/09) 2.553M  (4/16) 0.515M  (4/23, 443.1M 배럴) 0.244M 

 (4/30) -2.696M  (5/07, 438.4M) -2.032M  (5/14, 441.8M 배럴) +3.454M  (5/21 443.2M 배럴) +1.321M

 (5/30 440.4M 배럴) -2.795  (6/04 436.1M 배럴) -4.304  (6/11 432.4M 배럴) -3.644  (6/18 420.9M 배럴) -11.473 

 (6/25 415.1M 배럴) -5.836  (7/02 419.0M 배럴) 3.845

02:00 - 국채 30년물 입찰($220억)

02:00 -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now (2분기)

-2분기: (5/1)+2.4% → (5/2)+1.1% → (5/7)+2.2% → (5/9)+2.3% → (5/16)+2.5% → (5/17)+2.4% → (5/27)+2.2% → (5/31)+3.8%

→ (6/03)+4.6% → (6/06)+3.8% → (6/10)+3.8%  → (6/18)+3.5%  → (6/19) +3.4%  → (6/28) +2.9% → (7/02) +2.5% → (7/04) +2.6%

03:00 6월 FOMC 의사록   

 

※실적발표

미국

장전 :
마감후 : AZZ(AZZ), 바셋퍼니쳐(BSET)

 

 

 

7월 10일 목요일

 

한국

옵션만기일

10:00 - 7월 한국 금리결정

- 이전 : 2.50%

2.50%로 동결 할 것으로 전망

14:00 - 국회 본회의

- 행안위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법' 개정안을 상정·의결

일본

08:50 - 외국채권매수

08:50 - 일본주식에 대한 외국인 투자 

대만

TSMC 6월 매출

 

중국

10:45 - 6월 차이신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서비스업: (2월) 51.4 → (3월) 51.9 → (4월) 50.7 → (5월) 51.1

홍콩

 

인도

14:00 - 6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 잠정치

- 서비스업: (3월) 58.5 → (4월 잠정치) 59.1 → (4월) 58.7 → (5월 잠정치) 61.2 → (5월) 58.8 → (6월 잠정치) 60.7

유럽

17:00 - 독일 5월 소비자물가지수

헤드라인 CPI 

전월대비(MoM)(1월) -0.2%  (2월) +0.4%  (3월) +0.3%   (4월) +0.4%  (5월) +0.1%  (6월 속보치) +0.0%
전년대비(YoY): (1월) +2.3%  (2월) 2.3% (3월) +2.2%  (4월) +2.1%  (5월) +2.1%  (6월 속보치) +2.0%

근원 CPI

- 근원 전월대비(MoM)(1월) -0.3%  (2월) +0.3%  (3월) +0.6%  (4월) +0.5%  (5월) +0.2%

- 근원 전년대비(YoY) : (1월) +2.9%  (2월) +2.7%  (3월+2.6%  (3월+2.9%  (5월+2.8%  (6월 속보치) +2.7%

미국

UN AI for Good 글로벌 서밋

아마존 프라임데이(8~11일)

21:30 - 주간 신규실업급여청구건수(jobless claims)

- 신규실업급여청구 건수 (3/27) 224K  (4/03) 219K  (4/10) 223K  (4/17) 215K  (4/24) 222K  (5/01) 241K (5/08) 228K 

 (5/15) 229K  (5/22) 227K  (5/29) 240K  (6/05) 247K  (6/12) 248K (6/18) 245K  (6/26) 236K  (7/03) 233K

- 연속실업급여 : (3/27) 1,856K   (4/03) 1,903K   (4/10) 1,850K   (4/17) 1,885K  (4/24) 1,841 (5/01) 1,916K 

 (5/08) 1,879K   (5/15) 1,881K  (5/22) 1,903K  (5/29) 1,919K  (6/05) 1,904K  (6/12) 1,956K  (6/18) 1,945K  (6/26) 1,974K  (7/03) 1,964K

- 4주 평균 : (3/27) 224.00K  (4/03) 223.00K  (4/10) 223.00K  (4/17) 220.75K  (4/24) 220.25 (5/01) 226.00K 

 (5/08) 227.00K   (5/15) 230.50K  (5/22) 231.50K  (5/29) 230.75K   (6/05) 235.00K (6/12) 240.25K (6/18) 245.00K  (7/03) 241.50K

23:30 - 천연가스 재고량

02:00 - 국채 30년물 입찰($220억)

- 이전 : 4.844%

02:15 - 크리스토퍼 윌러 연준 이사 연설

- 25년 트럼프 정부에서 매파 → 비둘기파

03:30 - 매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연설

 

※실적발표

미국

장전 : 델타항공(DAL), 콘그라브랜즈(CAG), 버나테크놀로지스(BYRN), 더심플리굿푸드(SMPL)
마감후 : 리바이스(LEVI), WD-40(WDFC), 프라이스스마트(PSMT), E2오픈페어런트홀딩스(ETWO), 비스타에너지(VIST)

 

 

7월 11일 금요일

 

한국

JYP Ent, 트와이스 정규 4집 '디스이즈포' 공개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미국 출시

일본

 

중국

 

유럽

15:00 - 영국 5월 GDP

15:00 - 영국 5월 건설생산

15:00 - 영국 5월 산업생산

15:00 - 영국 5월 무역수지

15:00 - 독일 5월 도매물가지수

16:00 - 스위스 6월 SECO 소비자동향

미국

아마존 프라임데이(8~11일)

18:00  - 국제 에너지 기구(IEA) 월간 보고서

01:00 - 농무부 글로벌 농업 수급 전망 보고서(WASDE) 

03:00 - 연방재정수지(Federal Budget Balance)

 

 

7월 12일 토요일

 

중국

12:00 - 6월 수출입동향


Telegram : https://t.me/RtAresearch

 

너구린베스트먼트^^7

투자에 대한 판단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곳에 올라오는 내용은 정보 공유 차원이며, 종목에 대한 매수 매도 추천은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결과는 투자자 자신에게 귀속됩니다. 해당

t.me


 

반응형